이승하 시인의 ‘내 영혼을 움직인 시’ (28) / 석가탄신일에 읽다 - 조지훈의 '고사 1'
이승하 시인의 ‘내 영혼을 움직인 시’ (28) / 석가탄신일에 읽다 - 조지훈의 '고사 1' [이미지 편집 = 한송희 에디터]
이승하 시인의 ‘내 영혼을 움직인 시’ (28) / 석가탄신일에 읽다 - 조지훈의 '고사 1'
고사(古寺) 1
조지훈
목어를 두드리다
졸음에 겨워
고오운 상좌아이도
잠이 들었다.
부처님은 말이 없이
웃으시는데
서역 만리 길
눈부신 노을 아래
모란이 진다.
-『풀잎 단장』(창조사, 1952)
이승하 시인의 ‘내 영혼을 움직인 시’ (28) / 석가탄신일에 읽다 - 조지훈의 '고사 1' [이미지 편집 = 한송희 에디터]
<해설>
오늘은 음력 4월 8일, 석가탄신일이다. 전국의 사찰에서 봉축법회가 열리고 연등에 불을 밝히리라. 많은 불자들이 석가의 탄생을 기뻐하고 각자 소망을 기원하리라. 이 시에는 석가가 불교를 창시한 의미가 담겨 있다. 일요일은 동시를 올리는 날인데 이 시는 동시 같기도 하다.
오래된 절이기도 하고 낡은 절이기도 하다. 상좌아이가 대웅전 대불 앞에서 목어를 두드리며 경을 외우다 잠이 들었다. 뜻도 모르고 하는 염불이니 얼마나 지루할까. 대웅전의 불상은 하나의 상(혹은 상징물)이지만 시인은 그것을 의인화시킨다. 스르르 드러눕더니 잠이 든 상좌아이를 보고 부처님은 웃는다.
이 시에서 서역은 원래의 뜻과 달리 쓰였다. 서역은 중국 한대 이후 국경지대에 있는 옥문관(玉門關)과 양관(陽關) 서쪽의 여러 나라들을 일컫던 역사적 용어다. 한의 무제는 장건을 파견하여 처음으로 서역을 개척했고, 선제는 서역도호부를 설치했다. 시에서 서역은 석가가 살았던 아주 먼 곳이다. 만리 저쪽 먼 곳에서 이 땅에까지 전래된 것이 불교다. 왕자의 신분으로 한 인간이 태어나 풍족하게 살다가 인간 생로병사의 비의를 알아보고자 출가해 고행을 하였다. 고행을 해도 진리를 깨닫지 못하자 참선에 들어갔고 어느 날 새벽에 별을 보며 깨달음을 얻곤 설법을 시작, 불교가 성립되었다. 이 시에서 가장 중요한 시어는 모란이다. 모란은 붉고 화려한 꽃잎이 부귀영화를 나타낸다. 전통 혼례복이나 신방의 병풍에 모란은 빠지지 않았다. 눈부신 노을 아래 모란이 진다는 것은 우리 인생이 얼마나 덧없는 것인가를 말해주는 상징적인 표현이다. 불교가 자비와 보시를 강조하는 이유는 그렇게 해야지 덧없음을 극복하여 극락왕생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석가탄신을 기념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어야 한다.
출처 : 뉴스페이퍼(http://www.news-paper.co.kr)
'<시 읽기·우리말·문학자료> > 우리 말♠문학 자료♠작가 대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승하 시인의 ‘내 영혼을 움직인 시’ (30) / 슬픈 생존본능 - 김윤배의 ‘가마우지를 위한 노래’ (0) | 2021.10.05 |
---|---|
이승하 시인의 ‘내 영혼을 움직인 시’ (29) / 자연의 섭리 - 하린의 ‘이부탐춘’ (0) | 2021.10.05 |
재미 있는 시를 찾아서 - 이승하 (0) | 2021.09.25 |
이승하 시인의 ‘내 영혼을 움직인 시’ (27) / 고향을 노래한 시인 - 정완영의 '고향 생각' (0) | 2021.09.25 |
이승하 시인의 ‘내 영혼을 움직인 시’ (26) / 아가가 웃는구나 - 최정애의 '아가 되던 날' (0) | 2021.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