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입력 2014-12-15 15:14:18, 수정 2014-12-15 15:14:18
실생활 어휘 13개 표준어 추가 인정… 개개다? 개기다가 자연스러
표준어 13개 추가 인정 소식이 전해졌다.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비표준어로 분류됐던 13개 어휘가 표준어로 인정됐다.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은 1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4년 표준어 추가 사정안’을 발표하고 인터넷 ‘표준국어대사전’(stdweb2.korean.go.kr/main.jsp)에 반영했다.
이번에 새로 인정된 표준어 항목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다 같이 널리 쓰이는 경우 그 모두를 복수 표준어로 인정했다.
복수 표준어에는 삐치다-삐지다, 눈두덩이-눈두덩, 굽신거리다-굽실거리다, 등 모두 5항목이 인정됐다.
둘째, 현재 표준어와는 뜻이나 어감이 달라 이를 별도의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다.
별도의 표준어로 인정된 말은 ‘개기다’(개개다), ‘사그라들다’(사그라지다), ‘속앓이’(속병), ‘허접하다’(허접스럽다), ‘딴지’(딴죽), ‘섬찟’(섬뜩), ‘꼬시다’(꾀다) 등 모두 8항목이다.
국어원 관계자는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 빈도가 높고 표준어로 인정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은 것들을 선별했다”고 설명했다.
국립국어원은 1999년 ‘표준국어대사전’ 발간 이후 언어생활에서 많이 사용되지만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은 단어들을 검토하는 일을 꾸준히 해왔다. 지난 2011년 ‘짜장면’ ‘맨날’ ‘눈꼬리’ 등 39항목을 표준어로 추가했고, 올해 13항목을 추가로 표준어에 포함시켰다.
표준어 13개 추가 인정 소식에 누리꾼들은 "표준어 13개 추가 인정, 개기다가 원래 개개다였다니 깜짝" "표준어 13개 추가 인정 섬찟도 표준어 아니었구나" "표준어 13개 추가 인정, 쓰기 훨씬 편하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 뉴스팀- 세계일보
'<시 읽기·우리말·문학자료> > 우리 말♠문학 자료♠작가 대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어장 - '매무시'와 '매무새'의 차이점 (0) | 2014.12.17 |
---|---|
국립국어원 "표준어, '딴지'는 되고 '멘붕'은 안된다" (0) | 2014.12.16 |
단어장 - '박이다'와 '박히다'의 차이 (0) | 2014.12.03 |
단어장 - '월다' '일날'의 바른 띄어쓰기 (0) | 2014.12.03 |
단어장 - '갯벌'과 '개펄'의 차이 (0) | 2014.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