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작(獨酌) ―임강빈(1930∼2016)
주량이 얼마냐고 물으면
좀 한다고 겸손을 떨었다
세상 한구석에서
대개는 외로워서 마셨다
몇 안 되는 친구가 떠났다
그 자리가 허전하다
거나하게
정색을 하며 마신다
독작 맛이 제일이라 한다
외롭지 않기 위해 혼자 마신다
과거는 배반을 모른다. 지나온 삶의 흔적은 사람의 어딘가에 묻어 있다. 얼굴, 눈빛, 하다못해 몸짓 같은 데서도 티가 난다. 특히 오래 살아온 사람한테는 과거의 흔적이 체취처럼 풍겨난다.
사과가 사과인 줄 모르고 익는 것처럼, 시인은 자기가 시인인 줄 모르고 시인이어야 한다고 그는 말해 왔다. 돈, 명예, 과시, 탐욕. 시를 통해 이런 것을 얻으려고 하지 않았다. 얼마나 순수하게 시 하나에 간절했는지 모른다. 시에 오래 매진해서 일종의 경지에 들어섰으면서도 늘 더 좋은 시를 쓰지 못해 괴로워했다.
시인은 백 편의 시를 남기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백 사람에게 읽히는 한 편의 시를 남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나는 그런 시를 남기지 못해서 어찌 하나 한탄했다. 그렇지만 시인의 곁에는 따르는 이도, 존경하는 이도 많았다. 임 시인은 늘 겸손에 살았지만 왜 백 사람에게 읽히는 시가 없었을까. 그의 시 ‘독작’만 봐도 백 사람, 천 사람이 읽고 품을 만하다. 높이 올라갔으나 스스로를 낮추었던 한 시인을 회상하며 이 시를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