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팔 재소자 풀어주고 5년만에 포로 구출
2006년 6월 25일. 길라드 샬리트 상병(24·사진)은 여느 때처럼 이스라엘 가자지구 남부 인근 초소에서 경계근무를 서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이날 후임 근무자와 교대하지 못했다. 국경 밑 땅굴을 파고 넘어온 팔레스타인 최대 무장정파 하마스 대원들의 기습공격을 받고 납치됐기 때문이다.
1994년 한 병사가 하마스에 납치돼 살해된 이후 12년 만에 하마스에 납치된 이스라엘 병사인 샬리트 상병을 구출하기 위해 이스라엘은 사흘 뒤인 6월 28일 가자지구에 대규모 보복공습을 가했다. 하지만 샬리트 상병을 돌아오게 하지는 못했다.
납치된 지 1934일. 샬리트 상병은 마침내 고국의 품에 안길 수 있게 됐다.
계급도 병장으로 승진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극적 합의로 다음 달 석방되는 것이다.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11일 샬리트 상병과 이스라엘 교도소에 수감 중인 팔레스타인인 1027명을 교환하기로 합의했다고 이스라엘 일간 하아레츠 등이 전했다.
샬리트 상병의 송환 문제를 놓고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2006년부터 5년 3개월여간 지난한 협상을 계속해왔다. 하지만 협상은 매번 결렬됐다.
“아들이 돌아온다니…” 11일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관저 앞에서 천막 농성을 벌이던 중 하마스에 납치된 아들 길라드 샬리트 상병의 석방 소식을 들은 샬리트의 어머니 아비바씨(왼쪽)와 아버지 노암 씨의 얼굴에 놀람과 기쁨이 교차하고 있다. 예루살렘=로이터 연합뉴스
▼ “이스라엘의 아들 구하라” 국내외 압력에 마라톤협상 타결 ▼
하마스는 샬리트 상병이 생존해 있음을 알리는 친필 편지와 육성 테이프를 간간이 내놓으며 이스라엘을 압박했다. 2009년 10월에는 샬리트 상병의 모습이 담긴 비디오테이프를 건네는 대가로 이스라엘로부터 여성 재소자 20명을 받았다. 그러나 거기까지였다. 테러를 저지른 중범죄인은 절대 석방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원칙을 고수해 온 이스라엘은 하마스의 요구를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었다.
이스라엘의 환호 5년간 팔레스타인에 억류됐던 길라드 샬리트 상병의 석방 소식이 전해진 11일 수십 명의 이스라엘 청년들이 예루살렘에 있는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의 관저 밖에서 춤을 추며 환호하고 있다. 예루살렘=EPA 연합뉴스
네타냐후 총리는 샬리트 상병과 팔레스타인 수감자들을 맞교환하는 합의안을 처리하기 위해 11일 오후 6시경 긴급 각료회의를 소집했다. 회의 후 이어진 투표 결과는 26 대 3. 네타냐후 총리는 “우리가 최선의 합의에 도달했다고 믿고 싶다”며 합의안이 타결됐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칼레드 마샤알 하마스 최고지도자 또한 TV 연설을 통해 같은 소식을 전했다.
샬리트 상병의 석방 협상 타결을 계기로 미온적이던 이스라엘과 하마스 사이의 평화협상에도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AP통신은 전망했다.
신나리 기자 journari@donga.com
'<읽어본 신문·건강정보> > 내가 읽은 신문♠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적자금 4조 받은 은행들, 빚 안 갚고 연봉 타령 (0) | 2011.10.14 |
---|---|
[TV토론후 첫 여론조사] 나경원·박원순 초박빙 (0) | 2011.10.13 |
여성들 ‘악몽같은 연애 상대’… 1위는? (0) | 2011.10.13 |
‘뿌리’ 셋째 불과했던 세종 이도는 어떻게 왕이 됐나 (0) | 2011.10.12 |
‘죽어도 묻지마 각서’ 또 있다 (0) | 2011.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