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15년 12월 15일
부사의 끝 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소리 나는 것은 ‘-이’로 적고, ‘히’로만 나거나 ‘이’나 ‘히’로 소리 나는 경우 ‘-히’로 적습니다. ‘엄격히, 간편히’처럼 ‘-하다’가 붙는 어간에서 만들어진 부사는 ‘-히’로 소리 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ㄱ’ 받침으로 끝나면서 그 뒤에 ‘-하다’ 가 붙을 수 있는 어간에서 만들어진 부사 가운데 ‘촉촉이, 깊숙이, 끔찍이, 나직이, 납작이, 삐죽이, 수북이, 큼직이’ 등은 부사의 끝 음절이 ‘이’로 소리 나는 경우입니다.
위 내용은 국립국어원 국어생활종합상담실 ‘온라인가나다’에 올라온 질문과 답변을 정리한 것입니다.

'<시 읽기·우리말·문학자료> > 우리 말♠문학 자료♠작가 대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림 시인편<특강 : 어떤 시를 읽을 것인가?> (0) | 2015.12.23 |
---|---|
우리말 바로 쓰기 - 나밖에 모르는 그사람이 대문 밖에 서 있어 (0) | 2015.12.18 |
한글 맞춤법 차례로 알아보기 38 - 쌍여가는 눈 속에 깊어감 가는 겨울밤 (0) | 2015.12.18 |
언어의 숨겨진 힘 11 - 신뢰의 열쇠, 언행일치 (0) | 2015.12.18 |
안녕! 우리말 - 창밖에 '잎새' 모두 떨어져도 외로워 '말아요'-국립국어원 2015년 표준어 추가 사정안 발표 (0) | 2015.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