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시조의 분류
유재건
1.단장시조
종장만 있는 작품이다
주의 할 점은 3,5.4,3 이 잣수를 파괴해서는 곤란하다는 것이다.
즉,촌철살인을 요한다는 것이다.
쥑일놈 혈세를 빨아 호의호식 일삼는
-졸작(모기를 태형하며)
2.양장시조
시조의 형식 가운데 개화기에 이르러 출현한 시형으로서 초.중장 가운데 한 장이 생략된 형식이다.양장시조,혹은 2장시조라고도 하는 이 시형은 말 그대로 두장으로 이루어진 형태의 시조를 말한다.우리 시가문학은 개화기에 이르러 많은 변형이 나타났으며 양장시조도 단시조의 축약적 변형으로 발전한 것이라 할 수 있다.(주1)
작은 것 하나라도 소중히 여기시는
아버지 기쁜 옛 얘기 차곡차곡 접어둔 곳.
추억의 빗장 열면 눈 앞에 떠오르는
수수한 반다지 표정, 삶의 숨결 스며 있네
-김혜선<반다지>
그리움 꼬옥 묶은 열 손가락 풀어헤치니
단심(丹心)이 새겨져 있네 달쪽 같은 손톱에...
-이효정<봉선화 물들이기>
도시락 챙겨 주며 감싸쥐던 그날 그 온기
까슬한 손잔등 위에 일렁이는 잔물결.
하교길 마중 나와 웃음 심던 눈매 가엔
세월이 쟁기질하여 고랑 지어 놓았네.
-우순조<어머니>
3.평시조(삼장시조)
평시조는 시조의 중심이 되는 형식으로서 3장 6구 12음보로 구성된 시형식이다.
시조는 어느 종류를 막론하고 초장,중장,종장 3장의 형식미학을 갖추고 있다.평시조(단형시조)는 각 장이 2구 4음보의 율격을 갖추며 종장 첫 구가 1음보 3음절로 고정된 삼장시(혹은 삼행시)이다.
일반적으로 시조라고 하면 평시조를 가리키며 과거 학자들은 그 형식을 3장 6구 12어절 45자 내외로 규정하고,이에다가 몇 자를 가감할 수 있는 신축성이 있는 형식이라 하였다.
(주2) 예문은 나중에 소개 하겠다.
4.연(연형시조)
평시조가 2편 이상으로 구성되어 1수를 완성한 작품을 통칭한다.
5.엇시조
초.중.종장 가운데 어느 한장이 6~7음보로 이루어진 시형이다.
엇시조의 `엇`은 접두사로서 평시조와 엇비슷한,또는 평시조에서 어긋난 형식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엇시조는 평시조의 기본 틀인 3장 6구 12음보에서 어느 한 장의 1구가 2,혹은 3음보 정도 길어진 형태이다.대개 초장과 중장이 길어지지만,중장이 길어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종장만이 길어진 경우는 드물다.
다시 정리하면 엇시조는 평시조와 사설시조의 중간 형식이라고 할 수 있으며,초,중,종장 가운데 어느 장이든지 길어질 수 있으나 중장이 길어진 형식이 일반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6.장(사설)시조
사설시조는 초,중,종장 가운데 어느 한 장이 8음보 이상 길어지거나 각 장이 모두 길어진 산문시 형식의 시조이다.
사설시조는 평시조의 기본 음률과 산문율이 혼용된 산문체의 시조형태를 말한다.시조문학의 변화,발전 과정을 살펴보면 평시조는 사대부 문학이었고,사설시조는 서민문학이었다.달리 말하면 평시조는 양반 계층의 문학이었고 사설시조는 서민대중의 문학이었다.사설시조는 사대부 시조의 관념성과 대립되는 사실적 요소에 의한 현실인식의 시였고,그것은 다음에 올 자유시의 기초를 닦게 해 준 기폭제였다고 볼 수 있다.
사설시조 약 300수를 분석한 결과 초,중장이 단독으로 길어진 경우는 극히 드물며,중장만이 단독으로 길어진(3구 이상)경우가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이러한 분석 결과 사설시조는 초,중,종장의 3장시로서 종장 첫 구 3자의 고정을 원칙으로,어느 한 장이 3구 이상 길어지거나 두 장이 3구 이상,혹은 각 장이 모두 길어진 자유로운 구수율의 산문 시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두 장 이상 혹은,각 장이 모두 길어질 경우 자유시와 다른 시조 고유의 변별성을 획득할 수 없으므로, 초장,종장은 평시조의 정형률을 따르되 중장만을 길게 하는 것이 사설시조의 타당한 방법이 아닌가 생각한다(주3)
사람이 몇 생이나 닦아야 물이 되며 몇 겁이나 전화해야 금강에 물이 되나! 금강에 물이 되나!
샘도 강도 바다도 말고 옥류 수렴 진주담 만폭동 다 그만 두고 구름 비 눈과 서리 비로봉 새벽 안개 풀 끝에 이슬 되어 구슬구슬 맺혔다가 연주담 함께 흘러
구룡연 천척절애에 한번 굴러 보느냐
-조운<구룡폭포>
백사발 깨진거나
투가리 조각도 좋다
떡고물처럼 철가루 뒤덮인 땅에 앉아 상대편 사금파리를 맞히면 그 영역까지 내 것이 되는 기쁨,튕기는 집게손의 힘과 방향을 정확히 고누는 기술만이 땅 따먹는 우리들의 재주다.순전히 아버지들이 하는 투기나 권력남용으로 얻어내는 부정이 아니다.꿈 많은 국민학교 운동장을 따먹다 잃어버리고 다시 시작하고...땅보다 붉은 땅거미 기어들어 우리의 영역에서 승부를 가리면 툴 툴 털고 일어나
이긴 자 교장 선생님보다
더 큰 웃음을 웃는다
-이요섭<철산동 땅 따먹기>
멀어져 간 잎새들은 어디로 가 무엇이 되었는가.
가슴에 못이 된 비밀도 지고 나면 잊혀지나,잊혀지나 내가 버린 말들은 거미줄에 얽히운다.잠자리 나비처럼 젖은 눈에 걸리운다.약속한다고,영원이라고,진실이라고 몸 부수며 멀어져 간 잎새들은 어디로 가 무엇이 되었는가.하늘은 머리 위에 내려와 되풀이 묻지 말라,묻지 말라 하느니.2차선 길섶으로 줄지어 핀 벌개미취,늦벌 두엇 데려와 빗질한 그물바람 가만 풀어놓느니.
농부는 늙은 소걸음,놀빛 길을 따라가네
-홍성란<그물바람 지나는 길>
7.옴니버스(혼합)시조
`옴니버스시조`는 한 편의 연작시조 속에 앞에서 말한 평시조,사설시조,엇시조,양장시조등 다양한 시조형식을 모두 아우르는 혼합연형시조 형태를 말한다."형식이 내용을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내용이 형식을 지배한다(?)"는 전제 아래 1970년대 이후 시도된 새로운 시조형태이다.
현대 사회의 복잡다기한 문명의 흐름을 포착하고,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오늘의 시대에 적응해 가는 인간들의 사고와 심리의 중층구조를 표현하기 위해서는`표현 영역의 확대`는 필수적이다.
이 근자에 현대 시조의 `새물결`에 참여하고 있는 몇 몇 중진과 신인들이 `옴니버스시조`를 대담하게 시도,문단의 주목을 받고도 있다.
1
돌꽃 피는 것 보러
돌곶이 마을 갔었다.
길은 굽이돌면 또 한 굽이 숨어들고 산은 올라서면 또 첩첩 산이었다.지칠대로 지쳐 돌아서려 햇을 때 눈 앞에 나타난 가랑잎 같은 마을들,무엇이 이 먼 곳까지 사람들을 불러냇나.살며시 내려가 보니 무덤처럼 고요했다.가끔 바람이 옥수수 붉은 수염을 흔들 뿐,아무리 들여다 보아도 사람의 자취 묘연했다.
여러 날 헤매이다가
텅 빈 집처럼 허물어졌다.
2
화르르 타오르는 내 몸엔 열꽃이 돋고
세상은 천 길 쑥구렁 나락으로 떨어지는데
누군가 눈 좀 뜨라고 내 이마를 짚었다.
나,그 서늘함에 화들짝 깨어났다
눈 뜬 돌들이 지천으로 가득햇다
온전히 제 안을 향한 환한 꽃밭이었다
-송광룡<돌곶이 마을에서의 꿈>
뚝뚝 목이 지는 화엄사 동백을 만나
일자리 작파하고 유랑하는 친구의 말씀
지리산 반야봉 너머 환한 세상 있것다
천왕봉 상상봉에
매어놓은 <바람집 한 채>
바람을 부르면 슬픈 가락이 되고 구름 몰려오면 벼락치는 노한 소나기로 우르릉 쾅쾅,섬진강 은어떼 뛰듯 철없이 튀어올라 평사리무논바닥 잡풀 자라듯 그렇게 한 시절 살아보려 했는데 절뚝이며 절뚝이며 술잔 비우네
동백은 생살로 목이 뒹굴고
어둠은 말없이 산을 감춘다
-김영재<화엄동백>
끝으로 일부에서는 평시조와 연(연형)시조만 인정을 하는 경향도 있다.
또한 일부에서는 시조의 일탈을 꿈꾸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시조의 핵을 파괴하지는 말아야 한다.
나의 졸작으로서 이 글을 갈음하려 한다
詩와 時調의 어원은
해와 달의 그런 차이
남녀평등 주창해도
남과 여는 판별된다
신분증
주민번호 뒷자리
확연히 틀리지 않는가
성 전환 수술을 해도
제 기능을 발휘 못하고
파격에 지랄발광 해도
염색체 조합이 틀리듯
명칭과
종장의 3과 6구를
부정하면 그댄 이방인
-졸작<법정에서>
유재건
1.단장시조
종장만 있는 작품이다
주의 할 점은 3,5.4,3 이 잣수를 파괴해서는 곤란하다는 것이다.
즉,촌철살인을 요한다는 것이다.
쥑일놈 혈세를 빨아 호의호식 일삼는
-졸작(모기를 태형하며)
2.양장시조
시조의 형식 가운데 개화기에 이르러 출현한 시형으로서 초.중장 가운데 한 장이 생략된 형식이다.양장시조,혹은 2장시조라고도 하는 이 시형은 말 그대로 두장으로 이루어진 형태의 시조를 말한다.우리 시가문학은 개화기에 이르러 많은 변형이 나타났으며 양장시조도 단시조의 축약적 변형으로 발전한 것이라 할 수 있다.(주1)
작은 것 하나라도 소중히 여기시는
아버지 기쁜 옛 얘기 차곡차곡 접어둔 곳.
추억의 빗장 열면 눈 앞에 떠오르는
수수한 반다지 표정, 삶의 숨결 스며 있네
-김혜선<반다지>
그리움 꼬옥 묶은 열 손가락 풀어헤치니
단심(丹心)이 새겨져 있네 달쪽 같은 손톱에...
-이효정<봉선화 물들이기>
도시락 챙겨 주며 감싸쥐던 그날 그 온기
까슬한 손잔등 위에 일렁이는 잔물결.
하교길 마중 나와 웃음 심던 눈매 가엔
세월이 쟁기질하여 고랑 지어 놓았네.
-우순조<어머니>
3.평시조(삼장시조)
평시조는 시조의 중심이 되는 형식으로서 3장 6구 12음보로 구성된 시형식이다.
시조는 어느 종류를 막론하고 초장,중장,종장 3장의 형식미학을 갖추고 있다.평시조(단형시조)는 각 장이 2구 4음보의 율격을 갖추며 종장 첫 구가 1음보 3음절로 고정된 삼장시(혹은 삼행시)이다.
일반적으로 시조라고 하면 평시조를 가리키며 과거 학자들은 그 형식을 3장 6구 12어절 45자 내외로 규정하고,이에다가 몇 자를 가감할 수 있는 신축성이 있는 형식이라 하였다.
(주2) 예문은 나중에 소개 하겠다.
4.연(연형시조)
평시조가 2편 이상으로 구성되어 1수를 완성한 작품을 통칭한다.
5.엇시조
초.중.종장 가운데 어느 한장이 6~7음보로 이루어진 시형이다.
엇시조의 `엇`은 접두사로서 평시조와 엇비슷한,또는 평시조에서 어긋난 형식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엇시조는 평시조의 기본 틀인 3장 6구 12음보에서 어느 한 장의 1구가 2,혹은 3음보 정도 길어진 형태이다.대개 초장과 중장이 길어지지만,중장이 길어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종장만이 길어진 경우는 드물다.
다시 정리하면 엇시조는 평시조와 사설시조의 중간 형식이라고 할 수 있으며,초,중,종장 가운데 어느 장이든지 길어질 수 있으나 중장이 길어진 형식이 일반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6.장(사설)시조
사설시조는 초,중,종장 가운데 어느 한 장이 8음보 이상 길어지거나 각 장이 모두 길어진 산문시 형식의 시조이다.
사설시조는 평시조의 기본 음률과 산문율이 혼용된 산문체의 시조형태를 말한다.시조문학의 변화,발전 과정을 살펴보면 평시조는 사대부 문학이었고,사설시조는 서민문학이었다.달리 말하면 평시조는 양반 계층의 문학이었고 사설시조는 서민대중의 문학이었다.사설시조는 사대부 시조의 관념성과 대립되는 사실적 요소에 의한 현실인식의 시였고,그것은 다음에 올 자유시의 기초를 닦게 해 준 기폭제였다고 볼 수 있다.
사설시조 약 300수를 분석한 결과 초,중장이 단독으로 길어진 경우는 극히 드물며,중장만이 단독으로 길어진(3구 이상)경우가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이러한 분석 결과 사설시조는 초,중,종장의 3장시로서 종장 첫 구 3자의 고정을 원칙으로,어느 한 장이 3구 이상 길어지거나 두 장이 3구 이상,혹은 각 장이 모두 길어진 자유로운 구수율의 산문 시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두 장 이상 혹은,각 장이 모두 길어질 경우 자유시와 다른 시조 고유의 변별성을 획득할 수 없으므로, 초장,종장은 평시조의 정형률을 따르되 중장만을 길게 하는 것이 사설시조의 타당한 방법이 아닌가 생각한다(주3)
사람이 몇 생이나 닦아야 물이 되며 몇 겁이나 전화해야 금강에 물이 되나! 금강에 물이 되나!
샘도 강도 바다도 말고 옥류 수렴 진주담 만폭동 다 그만 두고 구름 비 눈과 서리 비로봉 새벽 안개 풀 끝에 이슬 되어 구슬구슬 맺혔다가 연주담 함께 흘러
구룡연 천척절애에 한번 굴러 보느냐
-조운<구룡폭포>
백사발 깨진거나
투가리 조각도 좋다
떡고물처럼 철가루 뒤덮인 땅에 앉아 상대편 사금파리를 맞히면 그 영역까지 내 것이 되는 기쁨,튕기는 집게손의 힘과 방향을 정확히 고누는 기술만이 땅 따먹는 우리들의 재주다.순전히 아버지들이 하는 투기나 권력남용으로 얻어내는 부정이 아니다.꿈 많은 국민학교 운동장을 따먹다 잃어버리고 다시 시작하고...땅보다 붉은 땅거미 기어들어 우리의 영역에서 승부를 가리면 툴 툴 털고 일어나
이긴 자 교장 선생님보다
더 큰 웃음을 웃는다
-이요섭<철산동 땅 따먹기>
멀어져 간 잎새들은 어디로 가 무엇이 되었는가.
가슴에 못이 된 비밀도 지고 나면 잊혀지나,잊혀지나 내가 버린 말들은 거미줄에 얽히운다.잠자리 나비처럼 젖은 눈에 걸리운다.약속한다고,영원이라고,진실이라고 몸 부수며 멀어져 간 잎새들은 어디로 가 무엇이 되었는가.하늘은 머리 위에 내려와 되풀이 묻지 말라,묻지 말라 하느니.2차선 길섶으로 줄지어 핀 벌개미취,늦벌 두엇 데려와 빗질한 그물바람 가만 풀어놓느니.
농부는 늙은 소걸음,놀빛 길을 따라가네
-홍성란<그물바람 지나는 길>
7.옴니버스(혼합)시조
`옴니버스시조`는 한 편의 연작시조 속에 앞에서 말한 평시조,사설시조,엇시조,양장시조등 다양한 시조형식을 모두 아우르는 혼합연형시조 형태를 말한다."형식이 내용을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내용이 형식을 지배한다(?)"는 전제 아래 1970년대 이후 시도된 새로운 시조형태이다.
현대 사회의 복잡다기한 문명의 흐름을 포착하고,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오늘의 시대에 적응해 가는 인간들의 사고와 심리의 중층구조를 표현하기 위해서는`표현 영역의 확대`는 필수적이다.
이 근자에 현대 시조의 `새물결`에 참여하고 있는 몇 몇 중진과 신인들이 `옴니버스시조`를 대담하게 시도,문단의 주목을 받고도 있다.
1
돌꽃 피는 것 보러
돌곶이 마을 갔었다.
길은 굽이돌면 또 한 굽이 숨어들고 산은 올라서면 또 첩첩 산이었다.지칠대로 지쳐 돌아서려 햇을 때 눈 앞에 나타난 가랑잎 같은 마을들,무엇이 이 먼 곳까지 사람들을 불러냇나.살며시 내려가 보니 무덤처럼 고요했다.가끔 바람이 옥수수 붉은 수염을 흔들 뿐,아무리 들여다 보아도 사람의 자취 묘연했다.
여러 날 헤매이다가
텅 빈 집처럼 허물어졌다.
2
화르르 타오르는 내 몸엔 열꽃이 돋고
세상은 천 길 쑥구렁 나락으로 떨어지는데
누군가 눈 좀 뜨라고 내 이마를 짚었다.
나,그 서늘함에 화들짝 깨어났다
눈 뜬 돌들이 지천으로 가득햇다
온전히 제 안을 향한 환한 꽃밭이었다
-송광룡<돌곶이 마을에서의 꿈>
뚝뚝 목이 지는 화엄사 동백을 만나
일자리 작파하고 유랑하는 친구의 말씀
지리산 반야봉 너머 환한 세상 있것다
천왕봉 상상봉에
매어놓은 <바람집 한 채>
바람을 부르면 슬픈 가락이 되고 구름 몰려오면 벼락치는 노한 소나기로 우르릉 쾅쾅,섬진강 은어떼 뛰듯 철없이 튀어올라 평사리무논바닥 잡풀 자라듯 그렇게 한 시절 살아보려 했는데 절뚝이며 절뚝이며 술잔 비우네
동백은 생살로 목이 뒹굴고
어둠은 말없이 산을 감춘다
-김영재<화엄동백>
끝으로 일부에서는 평시조와 연(연형)시조만 인정을 하는 경향도 있다.
또한 일부에서는 시조의 일탈을 꿈꾸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시조의 핵을 파괴하지는 말아야 한다.
나의 졸작으로서 이 글을 갈음하려 한다
詩와 時調의 어원은
해와 달의 그런 차이
남녀평등 주창해도
남과 여는 판별된다
신분증
주민번호 뒷자리
확연히 틀리지 않는가
성 전환 수술을 해도
제 기능을 발휘 못하고
파격에 지랄발광 해도
염색체 조합이 틀리듯
명칭과
종장의 3과 6구를
부정하면 그댄 이방인
-졸작<법정에서>
출처 : 강북구 삼각산의바람과노래
글쓴이 : 흐르는 물 원글보기
메모 :
'<시 읽기·우리말·문학자료> > 우리 말♠문학 자료♠작가 대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2강] 사물을 바라보는 마음의 눈/김영천 (0) | 2010.06.16 |
---|---|
[1강] 시를 창작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0) | 2010.06.16 |
순우리말 사전 (0) | 2010.04.17 |
아름다운 우리말 정리 (0) | 2010.04.17 |
[조용호의 길 위에서 읽는 시]<15> 조용미 ‘자미원 간다’ (0) | 2010.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