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애송 동시 - 제 5 편] 감자꽃
- 권 태 응
자연에 순응하는 생명의 경이로움 - 권 태 응
자주꽃 핀 건
자주 감자
파보나 마나
자주 감자.
하얀 꽃 핀 건
하얀 감자
파보나 마나
하얀 감자.
- ▲ 일러스트=양혜원
본디 감자는 페루와 볼리비아에 걸쳐 있는 안데스 산맥이 그 원산지다. 16세기에 유럽으로 건너온 뒤 18세기 말에 유럽 전역으로 퍼졌다. 사람과 감자는 전략적 호혜 관계를 유지하며 살아왔다. 감자는 사람에게 식량을 보태주는 대신에 사람에게서 더 많은 지배 영역을 얻어낸다. 여름 장마가 올 무렵 감자꽃이 핀다. 땅속에 숨어 사는 한해살이 풀 은자(隱者)는 "파보나 마나" 자주꽃 핀 건 자주 감자, 하얀 꽃 핀 건 하얀 감자다. 이 당연한 사실 앞에서 시인은 놀라고 경탄한다.
권태응(1918~1951) 시인은 충청북도 충주에서 태어났다. 일제 강점기 때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1년간 옥살이를 한 기록이 있다. 그 뒤 폐결핵에 걸려 고향에서 요양했는데, 그때 시골 체험이 알알이 든 동시와 동요를 많이 내놓았다. 아이의 손길까지 귀히 빌려 쓸 수밖에 없이 바쁜 수확기 농촌의 일상을 엿보게 하는 시도 있다. "막대기 들고는/ 무엇하나?/ 벼 멍석에 덤벼드는/ 닭을 쫓고// 막대기 들고는/ 무엇하나?/ 양지쪽에 묶어 세워둔/ 참깰 털고// 막대기 들고는/ 무엇하나?/ 뒤꼍에 오볼 달린/ 대출 따고"(〈막대기 들고는〉). 아이는 양광에 마르는 벼의 알곡을 쪼려는 닭을 쫓거나 참깨를 털어야 한다.
씨눈을 가진 감자알은 흙의 자양분을 끌어다가 둥글게 익는다. 이 성숙의 결과가 원만(圓滿)이다. 이 풍부한 땅의 부(富)를 산처럼 쌓고 인류가 공평하게 나눈다면 10억명의 사람들이 굶어 잠 못 드는 일은 없을 터다. 탐욕이라는 짐승들이 감자를 독점하려고 한다. 나는 태정이네 감자밭 둔덕에 쪼그리고 앉아 저 혼자만 잘살겠다는 이 짐승과 인류가 꿋꿋하게 싸워야 한다는 생각을 해보는 것이다. 1968년 충주 탄금대에 〈감자꽃〉을 새긴 노래비(碑)가 세워졌다.
'<시 읽기·우리말·문학자료> > 그림♠음악♠낭송 시(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송 동시 - 제 7 편] 엄마가 아플 때/정두리 (0) | 2010.03.31 |
---|---|
[애송 동시 - 제 6 편] 오빠 생각/최순애 (0) | 2010.03.31 |
[애송 동시 - 제 4 편] 콩, 너는 죽었다/김용택 (0) | 2010.03.31 |
[애송 동시 - 제 3 편] 나뭇잎 배/박홍근 (0) | 2010.03.31 |
[애송 동시 - 제 2 편] 풀잎2 /박성룡 (0) | 2010.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