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 좋은 시278 - 이팝나무 꽃 피었다/김진경 이팝나무 꽃 피었다/김진경
1 촛불 연기처럼 꺼져가던 어머니
"바―압?" 마지막 눈길을 주며 또 밥 차려주러 부스럭부스럭 윗몸을 일으키시다
마지막 밥 한 그릇 끝내 못 차려주고 떠나는 게 서운한지 눈물 한 방울 떨어뜨리신다.
2 그 눈물 툭 떨어져 뿌리에 닿았는지 이팝나무 한 그루 먼 곳에서 몸 일으킨다.
먼 세상에서 이켠으로 가까스로 가지 뻗어 툭 경계를 찢는지
밥알같이 하얀 꽃 가득 피었다.
―계간『창작과비평』(2001년 여름호) ―시집『지구의 시간』(실천문학사, 2004) |
이팝나무 꽃 피었다
김진경
1
촛불 연기처럼 꺼져가던 어머니
"바―압?"
마지막 눈길을 주며
또 밥 차려주러
부스럭부스럭 윗몸을 일으키시다
마지막 밥 한 그릇
끝내 못 차려주고 떠나는 게
서운한지
눈물 한 방울 떨어뜨리신다.
2
그 눈물
툭 떨어져 뿌리에 닿았는지
이팝나무 한 그루
먼 곳에서 몸 일으킨다.
먼 세상에서 이켠으로
가까스로 가지 뻗어
툭
경계를 찢는지
밥알같이 하얀 꽃 가득 피었다.
―계간『창작과비평』(2001년 여름호)
―시집『지구의 시간』(실천문학사, 2004)
이마적에는 '안녕하세요' 또는 '반갑습니다' 가 보편적인 인사말이 되었다. 그러나 예전에는 웃어른을 만나거나 아는 사람을 만나면 '진지 드셨었요' 또는 식사하셨어요' 가 인사말이었다. 배고픈 시절의 무의식적으로 배여 든 습관적인 인사말이었지만 형식적이거나 지나가는 말이라 해도 그 말에는 위로가 담겨있고 따뜻함이 묻어 있었다. 물론 요즘도 식사하는 중에 아는 사람이 찾아오거나 반가운 사람을 만나면 밥은 먹었느냐고 물어 보는 것을 보면 우리의 의식구조에서 '밥' 은 단순히 배고픔을 면하게 해주는 끼니라기 보다 인간관계를 돈독하게 이어주는 구실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다음에 밥 한번 먹자' 는 모종의 거래가 있는 듯도 하지만 친구나 선·후배에게 순수하게 건네는 이 말에는 믿음이 담겨있어 듣는 사람 입장에서는 무한한 신뢰가 형성되기도 한다. 그런데 하물며 어머니에게 있어 자식의 '밥' 은 더 말해 무엇하랴. 시 속에 어머니는 목숨이 꺼져가고 있다. 그 와중에 잠시 정신이 든 어머니는 자식이 눈에 들어오자 나오지도 않는 목소리로 '바―압' 을 주랴 고 물어본다. 하지만 끝내 일어나지 못하시고 마지막 밥을 주고 가지 못하는 안타까움에 눈물을 지으신다.
봄철에 향기로운 흰 꽃을 피우는 이팝나무의 꽃은 한창 필 때에는 눈을 쌓아놓은 듯 한데 어머니의 염원이 이팝나무의 뿌리에 가 닿으면서 이밥을 고봉으로 펼쳐 놓는다. 어머니의 자식에 대한 '밥' 사랑이 눈물 겨웁다.
<▲ '이팝나무꽃'>
'시 편지·카톡·밴드 > 카톡 ♠ 좋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지개/워즈워드 - 카톡 좋은 시 280 (0) | 2016.05.04 |
---|---|
봄비/이재무 - 카톡 좋은 시 279 (0) | 2016.05.02 |
소스라치다/함민복 - 카톡 좋은 시 277 (0) | 2016.04.26 |
자화상/공광규 - 카톡 좋은 시 276 (0) | 2016.04.25 |
봅볕은 두드리다/고명자 -카톡 좋은 시 275 (0) | 2016.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