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장鳥葬/김선태
티벳트의 드넓은 평원에 가서
한 사십 대 여인의 조장을 지켜보았다.
라마승이 내장을 꺼내어 언저리에 뿌리자
수십 마리의 독수리들이 달려들더니 삽시에
머리카락과 앙상한 뼈만 남았다, 다시
쇠망치로 뼈를 잘게 부수어 밀보리와 반죽한 것을
독수리들이 깨끗이 먹어치웠다, 잠깐이었다.
포식한 독수리들이 하늘로 날아오르자
의식은 끝났다, 그렇게 여인은 허, 공에 묻혔다
독수리의 몸은 무덤이었다 여인의
영혼은 무거운 육신의 옷을 벗고
하늘로 돌아갔다, 독수리의 날개를 빌어 타고
처음으로 하늘을 훨훨 날 수 있었을 게다.
장례를 마치고 마을로 돌아가는 유족들은
울지 않았다, 침울하지도 않았다, 평온했다
대퇴골로 피리를 만들어 불던 스님의 표정도
시종 경건했다, 믿기지 않았다, 그들은
살아생전 못된 놈의 시신은 독수리들도
먹지 않는다고 했다, 그때 슬퍼한다고 했다.
언덕길을 내려오다 들꽃 한 송이를 보며
문득 죽은 여인을 떠올렸다, 그러고 보니
평원의 풀과 나무들도, 모래알도, 독수리도
그냥 있는 게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마을 어귀에는 꾀죄죄한 소년들이 어김없이
허리를 굽히며 간절하게 손을 내밀었다.
삶과 죽음이 이토록 가까웠다.
-<현대시학> 2006. 4월호
유교적인 매장 풍습에 길들어진 우리의 시각으로 보면은 조장은 가히 엽기적이고 충격적이다. 그러나 이는 가치관에 길들어진 문화적 관점의 차이일 뿐이다. 아마 어느 티벳인이 우리의 산천을 거닐다가 둥굴게 된 무덤을 본다면 어떤 생각을 가질까. 영혼은 무거운 육신의 옷을 벗고 하늘로 돌아가기를 바라는 그들에게 우리가 가지고 있는 정서처럼 평온하고 아늑한 자리에서 망자가 편히 쉬고 있다고는 생각을 하지 않을 것이다.
삶과 죽음이 자연론적으로 보면 순환하는 것이기는 하나 주검을 가장 처리하기 껄끄러운 것이 사람이다. 가령 두더지가 밭가는 농부의 삽날에 죽어서 버려졌다면 신진대사를 멈춘 주검은 이내 썩기 시작하고 냄새를 맡은 파리가 즉시 알을 슬어 놓는다. 파브르곤충기에 보면은 쉬파리는 알이 아니라 썩은 고기에 바로 애벌레를 낳는다고 하는데 이렇게 깨어난 파리의 애벌레는 주검을 녹여서 수프로 만들어 먹어버리고 일부는 흙이 빨아들여 새로운 생명과 식물이 자란다고 한다. 얼마나 깨끗한 주검인가.
매장 대체 장례법으로 화장, 수목장, 화단장 등 환경친화적이고 생태학적인 장례법이 계속 개발이 되고 있고 관심을 끌고 있다고 한다. 생태학적 매장방법으로 특정한 진동을 이용하여 유기적인 가루로 만들어서 수목이나 꽃나무에 묻는 무취이고 위생적인 수목장이 스웨덴에서 개발되어 실시중이라고 한다.
외국 어느 나라에서는 얼음처럼 만들어서 처리한다는 방법이 개발이 되었다고 하는데 티벳트의 조장 같은 장례풍습처럼 시신이라도 조상을 숭상하는 우리정서에는 어딘가 맞지 않는 것 같다. 하지만 매년 여의도 면적의 땅이 매장에 의해 잠식을 당한다고 하니 협소한 땅에 계속해서 늘어나는 무덤도 그다지 좋아 보이지를 않는다.
삶과 죽음이 이원론적이 아니라 일원론적이라면 자연의 뭇 생명체처럼 아무런 흔적도 남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자연으로 돌아가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아닐까. 그런 의미에서 돌을 깎아 세워놓은 부조물도 자연의 방해물은 아닐런지.
'시를♠읽고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름을 지운다/허형만 (0) | 2010.09.09 |
---|---|
행방불명 되신 하느님께 보내는 출소장/고정희 (0) | 2010.09.07 |
손목/윤제림 (0) | 2010.08.28 |
야트막한 사랑/강형철 (0) | 2010.08.27 |
시 비빔밥/김금용 (0) | 2010.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