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바라기 신화 : 현대적 서사로 육화된 제주 신화
한라일보와 현대시로 등단한 시인 박현솔의 시집이다. 미당 서정주 시인이 자신의 고향 공간을 질마재 신화라고 명명했던 것처럼,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제주도 신화나 전설을 『해바라기 신화』 속에 응결시켜 네겐트로피를 꿈꾸고 있다. 사람들에게 현대시가 난해하고 친근하지 않은 모습으로 멀어졌다면 박현솔의 시들은 다시 우리 고유의 정서를 파고드는 시세계를 건설한 것이다.
그녀의 시는 신화나 민담으로 구전되던 서사를 시의 말로 재구성하고 있다. 현대의 욕망하는 의식과 고대의 신화 사이를 현대 일상 언어로 가로 지르면서 신화의 신화성을 재현, 동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시인의 시적 성과는 미당의 『질마재 신화』를 넘어선 것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미당의 그것이 시인이 태어나고 자란 고향 공간의 민담이나 전설을 시말로써 재현한 것인 반면에, 박현솔의 그것은 제주 신화를 하나의 소재로 차용하여 창작 신화를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시집을 읽으며 미당 서정주를 넘어서려는 한 여시인의 노고를 엿볼 수 있다.
시인의 말
제1부 거꾸로 열리는 세상-제주 신화
궉새를 부르다
거꾸로 열리는 세상
서천꽃밭, 꽃감관
포세이돈을 위하여
해바라기 신화
부신(副神) 칠성아기 전설
화석의 시간들
그림자놀이
달빛에 꼬리가 숨는다
하늬바람이 불어와
새들의 비상
산 그림자를 헤아리다
꽃향기를 좇다가
태양을 들어 올리다
태양의 기록
할로영산 궤네깃도
영(靈)을 위한 월광곡
아라비안나이트, 산적과 도둑
민들레꽃 씨앗이 바람에 날리고
바람에 잎사귀들 춤춘다
날개 잃은 천사
꽃잎을 살라먹고
거친 들판에 말 달리자
숲에서 새들이 날아오르다
빗방울이 길을 내며 흘러가듯
불꽃놀이
산유화 뿌리줄기, 샘물
가시나무 사이로
부엌 신, 조왕할망
해상왕국을 세우다
불씨를 새기다
수평선을 흔드는 소리
깊은 밤을 날아가는 반딧불들
진달래꽃 흐드러지다
범천총의 눈
제2부 해안선을 봉합하다
해안선을 봉합하다
티벳, 고도를 날다
가을의 전설, 억새들
겨울의 신부
하품
식구들
날개
몸에 새겨지는 생의 채찍들
생선에게도 혀가 있다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거미줄, 부드러운 혀
부레
혼이 타는 냄새
꼼지락 여자...시인의 말
제1부 거꾸로 열리는 세상-제주 신화
궉새를 부르다
거꾸로 열리는 세상
서천꽃밭, 꽃감관
포세이돈을 위하여
해바라기 신화
부신(副神) 칠성아기 전설
화석의 시간들
그림자놀이
달빛에 꼬리가 숨는다
하늬바람이 불어와
새들의 비상
산 그림자를 헤아리다
꽃향기를 좇다가
태양을 들어 올리다
태양의 기록
할로영산 궤네깃도
영(靈)을 위한 월광곡
아라비안나이트, 산적과 도둑
민들레꽃 씨앗이 바람에 날리고
바람에 잎사귀들 춤춘다
날개 잃은 천사
꽃잎을 살라먹고
거친 들판에 말 달리자
숲에서 새들이 날아오르다
빗방울이 길을 내며 흘러가듯
불꽃놀이
산유화 뿌리줄기, 샘물
가시나무 사이로
부엌 신, 조왕할망
해상왕국을 세우다
불씨를 새기다
수평선을 흔드는 소리
깊은 밤을 날아가는 반딧불들
진달래꽃 흐드러지다
범천총의 눈
제2부 해안선을 봉합하다
해안선을 봉합하다
티벳, 고도를 날다
가을의 전설, 억새들
겨울의 신부
하품
식구들
날개
몸에 새겨지는 생의 채찍들
생선에게도 혀가 있다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거미줄, 부드러운 혀
부레
혼이 타는 냄새
꼼지락 여자
꽃
미당 생가에서
죽은 나무
사랑한다면 이들처럼
오이도
등 푸른 바다의 시간
가랑잎 손바닥
파문
라디오 송신소
사라진 소 떼에 관한 기억
다시 꽃
세상의 딸들에게
연극
허공을 딛는 발자국들
일몰 후, 인디언 썸머
송신소 가는 길
오보에 리듬 같은 바람
이어도
작품해설 : 네겐트로피를 꿈꾸며
궉새를 부르다
고운 무명천에 쓴 먹빛 사연, 편지를 든 두 손이 떨려온다. 그녀의 눈빛이 수려한 필체의 물살을 타고 흐르다가 어느 굽이에선가 멈춘다. 가서 안부만 전하고 오겠다던 님이 활짝 핀 꽃향기에 취해 오늘도 못 온다는 소식을 보냈는가. 이승과 저승의 인연을 이어준다는 궉새. 신화 속의 새를 간절하게 기다린다. 눈앞을 빗겨 나는 새들이 궉새가 아닌지. 하늘의 언저리를, 나무의 흔들림을 유심히 바라본다. 두 눈의 눈물로 베틀을 짜고 몸에서 풀린 실로 비단 이불을 짜서 오지 않는 님을 애타게 기다린다. 비단 이불에 수놓은 이름을 보고 님이 오신다면, 짓무른 마음속에서 지웠던 실올들, 모두 다시 살아난다고 전해다오. ---p.13 중에서
해바라기 신화
제주 주년국에 살았다는 소사만이, 일찍 부모를 여의고 어렵게 산 사만이가 장가를 들었지요. 능력이 없었던 그는 아내의 머리까지 잘라야 했지요. 그의 부인은 비단결 같은 머리를 자르면서도 남편을 원망하지 않았지요. 천성이 착한 남편이 머리를 판 돈으로 양식 대신 총을 사들고 왔을 때, 그녀의 가슴엔 먹구름 드리우고 사나운 바람이 불었겠지요. 그래도 아내는 남편을 이...궉새를 부르다
고운 무명천에 쓴 먹빛 사연, 편지를 든 두 손이 떨려온다. 그녀의 눈빛이 수려한 필체의 물살을 타고 흐르다가 어느 굽이에선가 멈춘다. 가서 안부만 전하고 오겠다던 님이 활짝 핀 꽃향기에 취해 오늘도 못 온다는 소식을 보냈는가. 이승과 저승의 인연을 이어준다는 궉새. 신화 속의 새를 간절하게 기다린다. 눈앞을 빗겨 나는 새들이 궉새가 아닌지. 하늘의 언저리를, 나무의 흔들림을 유심히 바라본다. 두 눈의 눈물로 베틀을 짜고 몸에서 풀린 실로 비단 이불을 짜서 오지 않는 님을 애타게 기다린다. 비단 이불에 수놓은 이름을 보고 님이 오신다면, 짓무른 마음속에서 지웠던 실올들, 모두 다시 살아난다고 전해다오. ---p.13 중에서
해바라기 신화
제주 주년국에 살았다는 소사만이, 일찍 부모를 여의고 어렵게 산 사만이가 장가를 들었지요. 능력이 없었던 그는 아내의 머리까지 잘라야 했지요. 그의 부인은 비단결 같은 머리를 자르면서도 남편을 원망하지 않았지요. 천성이 착한 남편이 머리를 판 돈으로 양식 대신 총을 사들고 왔을 때, 그녀의 가슴엔 먹구름 드리우고 사나운 바람이 불었겠지요. 그래도 아내는 남편을 이해했지요. 사냥에 미쳐 산천을 쏘다니며 집에 늦게 들어오는 날에도, 빈손으로 들어오는 날에도 그의 지친 발을 어루만져줬지요. 남편의 사나운 잠을 어루만지는 아내, 들짐승과 산짐승에 쫓겨 벼랑에서 떨어지는 순간에도 해바라기처럼 그를 환하게 비춰주고 있었지요. 남편이 주워온 해골을 날마다 닦고 문지르며 정성을 다해 기도를 드렸고, 그 정성으로 가세는 불같이 일어났지요. 고방에 놓여 있던 해골은 신선이었고 곧 저승차사들이 잡으러 올 거라고 귀띔을 해주었지요. 부부는 놀라 온갖 정성을 다해 차사들을 대접해서 보냈고, 한 상 거하게 얻어먹은 저승차사들이 그들의 정명을 삼십이 아닌 삼천으로 고쳐주었지요. 삼십(三十)에 획 하나를 더해 삼천(三千)이 되었다는 장난 같은 운명, 사소한 삶에서 운명을 엮은 사람들, 어머니의 어머니, 아버지의 아버지 이야기가 고방 속에 감춰져 있었지요. --- p.20 중에서
거미줄, 부드러운 혀
가끔씩 아이들에게 심부름을 시키다 보면
어릴 적 멋모르고 했던 거짓말들이 생각난다
어머니가 콩나물 사오라고 하면
몇 백 원쯤 비어 있는 콩나물 비닐봉지를
아무렇지 않은 듯 내밀었고
내 거짓말은 요술주머니 같아서
어머니의 마음을 잘도 구슬려주었는데
그때 내 말이 거짓말이었다는 것을
어머니는 알고 계셨을 거다
내 얕은 수를 다 꿰뚫고 있으면서도
푸성귀 같은 거짓말들을 묵인해주셨다
거짓말을 수없이 했던 이력으로
나는 지금 상상력의 거미줄을 치는
거미와 같은 운명을 살게 되었으니
어둠을 견디고 새벽이슬을 머금은
씨실과 날실들이 어느새 탄탄한 기둥이 되어
생의 주춧돌로 박히고 만 것인데
푼돈 슬쩍 떼고 갖다 주는 것으로 봐서
오색 풍선 아이들도 부풀리고 꺼뜨리는
말의 오묘한 질감을 알고 있는 모양이다 --- p.98 중에서
미당의 질마재 신화와 박현솔의 제주 신화
제주도 출신인 박현솔 시인의 두 번째 신작 시집. 첫 시집인 『달의 영토』를 통해 유년 시절의 기억과 가족사를 아라베스크 무늬처럼 직조한 듯한 작품을 선보인 박현솔 시인은 이번 『해바라기 신화』를 통해 살아 숨쉬는 제주도 신화 이야기를 들려준다. 미당이 자신의 고향을 질마재 신화라고 이름 붙였던 것처럼, 박현솔 시인은 태어나고 자란 제주도의 신화나 전설을 『해바라기 신화』 속에 응결시켜 놓았다. 더욱이 이번 시집에서 박현솔 시인은 신화나 민담으로 구전되던 이야기를 시어로 재구성하였다는 점이 특이한데, 시인은 현대의 의식과 고대의 신화 사이를 현대 일상 언어로 가로지르면서 신화의 신화성을 재구성하고 있다.
현대의 시어로 되살린 제주 신화 이야기
예를 들면 이렇다. 제주 주년국에 살았다는 소사만이 장가를 들었다. 부인은 소사만을 지극 정성으로 보살폈고 능력 없는 소사만은 사냥에 나갔다 하릴없이 해골을 하나 들고 돌아온다. 부인은 그 해골을 정성껏 닦고 문지르며 기도를 드렸는데 그 해골이 다름 아닌 신선이었고 그 신선은 곧 저승차사들이 잡으러 올 것임을 예고해주었다. 하지만 부부는 한 상 거하게 차려 차사들을 대접했는데 차사들은 그들의 명을 삼십이 아닌 삼천으로 고쳐주었다. 이와 같은 제주도에 전해 내려오는 신화를 시어로 바꿔 시로 꾸며놓았는데, 그 시를 살펴보면 “삼십(三十)에 획 하나를 더해 삼천(三千)이 되었다는 장난 같은 운명, 사소한 삶에서 운명을 엮은 사람들, 어머니의 어머니, 아버지의 아버지 이야기가 고방 속에 감춰져 있었지요.”(해바라기 신화)라고 시인은 표현하였다.
그 밖에도 이승과 저승을 이어준다는 궉새 이야기,『삼공 본풀이』에 나오는 강이영성이서불과 홍은소천궁에궁전궁납 부부 이야기, 굴칫영감과 토산당 뱀 이야기, 도깨비 이야기 등 시를 읽고 있는지 옛날이야기를 읽고 있는지 모를 정도로 시 읽기가 재미있다.
신화와 일상 봉합하기
시인 박현솔은 이 책에서 제2부에 ‘해안선을 봉합하다’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일상 이야기도 풀어놓았다. 이 책의 해설을 쓴 김석준 문학평론가는 “신화는 일상이다. 아니, 역으로 일상이 생에 대한 형식과 겹쳐지는 곳에 신화가 있고 전설이 있다.”라고 말하며 “시인은 ‘신화=일상’이라는 등식 위에서 시말운동을 전...미당의 질마재 신화와 박현솔의 제주 신화
제주도 출신인 박현솔 시인의 두 번째 신작 시집. 첫 시집인 『달의 영토』를 통해 유년 시절의 기억과 가족사를 아라베스크 무늬처럼 직조한 듯한 작품을 선보인 박현솔 시인은 이번 『해바라기 신화』를 통해 살아 숨쉬는 제주도 신화 이야기를 들려준다. 미당이 자신의 고향을 질마재 신화라고 이름 붙였던 것처럼, 박현솔 시인은 태어나고 자란 제주도의 신화나 전설을 『해바라기 신화』 속에 응결시켜 놓았다. 더욱이 이번 시집에서 박현솔 시인은 신화나 민담으로 구전되던 이야기를 시어로 재구성하였다는 점이 특이한데, 시인은 현대의 의식과 고대의 신화 사이를 현대 일상 언어로 가로지르면서 신화의 신화성을 재구성하고 있다.
현대의 시어로 되살린 제주 신화 이야기
예를 들면 이렇다. 제주 주년국에 살았다는 소사만이 장가를 들었다. 부인은 소사만을 지극 정성으로 보살폈고 능력 없는 소사만은 사냥에 나갔다 하릴없이 해골을 하나 들고 돌아온다. 부인은 그 해골을 정성껏 닦고 문지르며 기도를 드렸는데 그 해골이 다름 아닌 신선이었고 그 신선은 곧 저승차사들이 잡으러 올 것임을 예고해주었다. 하지만 부부는 한 상 거하게 차려 차사들을 대접했는데 차사들은 그들의 명을 삼십이 아닌 삼천으로 고쳐주었다. 이와 같은 제주도에 전해 내려오는 신화를 시어로 바꿔 시로 꾸며놓았는데, 그 시를 살펴보면 “삼십(三十)에 획 하나를 더해 삼천(三千)이 되었다는 장난 같은 운명, 사소한 삶에서 운명을 엮은 사람들, 어머니의 어머니, 아버지의 아버지 이야기가 고방 속에 감춰져 있었지요.”(해바라기 신화)라고 시인은 표현하였다.
그 밖에도 이승과 저승을 이어준다는 궉새 이야기,『삼공 본풀이』에 나오는 강이영성이서불과 홍은소천궁에궁전궁납 부부 이야기, 굴칫영감과 토산당 뱀 이야기, 도깨비 이야기 등 시를 읽고 있는지 옛날이야기를 읽고 있는지 모를 정도로 시 읽기가 재미있다.
신화와 일상 봉합하기
시인 박현솔은 이 책에서 제2부에 ‘해안선을 봉합하다’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일상 이야기도 풀어놓았다. 이 책의 해설을 쓴 김석준 문학평론가는 “신화는 일상이다. 아니, 역으로 일상이 생에 대한 형식과 겹쳐지는 곳에 신화가 있고 전설이 있다.”라고 말하며 “시인은 ‘신화=일상’이라는 등식 위에서 시말운동을 전개하고 있다.”라고 평하였다. 이처럼 2부에서 보여지는 시들은 우리가 흔히 겪는 일상의 생활 이야기를 시로 담아놓았는데, 이것은 일상적 삶과 신화가 동전의 앞뒷면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시인이 얘기하고자 한 것이 아닌가 싶다.
시인 박현솔은 미당이 자신의 고향 공간을 질마재 신화라고 명명했던 것처럼,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제주도 신화나 전설을 [해바라기 신화] 속에 응결시켜 네겐트로피를 꿈꾸고 있다. 그런데 박현솔의 그것이 재미있는 점은 신화나 민담으로 구전되던 서사를 시말로 재구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현대의 저 욕망하는 의식과 고대의 신화 사이를 현대 일상 언어로 가로지르면서 신화의 신화성을 재현동시키고 있다. 이러한 시인의 시적 성과는 미당의 [질마재 신화]를 넘어선 것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미당의 그것이 시인이 태어나고 자란 고향 공간의 민담이나 전설을 시말로써 재현한 것인 반면에, 박현솔의 그것은 제주 신화를 하나의 소재로 차용하여 창작신화를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한층 진일보했다고 말할 수 있다. - 김석준(시인·문학평론가)
'<읽어본 신문·건강정보> > <책(시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문좌파를 위한 이론 가이드이론의 쓸모를 고민하는 이들에게 (0) | 2011.11.09 |
---|---|
귄터 그라스의 "게걸음으로 가다"와 독일의 역사적 멍에 (0) | 2011.10.25 |
친일 문학인 실상 풍자 시집 '사쿠라 불나방' (0) | 2011.08.13 |
<사전>한글 띄어쓰기 큰 사전 (0) | 2011.07.23 |
<환경 책>캔 맥주, 캔 음료 피해야 하는 이유 (0) | 2011.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