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하 시인의 ‘내 영혼을 움직인 시’ (46) / 인천의 옛 모습 - 정경해의 ‘인천 43’
이승하 시인의 ‘내 영혼을 움직인 시’ (46) / 인천의 옛 모습 - 정경해의 ‘인천 43’ [이미지 편집 = 한송희 에디터]
이승하 시인의 ‘내 영혼을 움직인 시’ (46) / 인천의 옛 모습 - 정경해의 ‘인천 43’
인천 43
-숭의동
정경해
1
장사래 마을 후예 꽃순이
진달래 치마폭 햇살 너울대던 봄날
꽃보다 예쁜 딸로 태어났다
진달래꽃 분홍 공주가 되어
밤마다 별빛 꿈 한 소쿠리 따서
꼬불꼬불 말간 개천에 띄워 보냈다
2
옐로하우스 꽃순이
밤이면 분홍 꽃등을 켠다
하룻밤 부나비를 기다린다
인천항 배 닻을 내리면
형형색색 불나방 꽃등에 뛰어들고
꽃순이 고단한 웃음 짙어간다.
3
꽃순이 사라지던 날
장사래 마을 기억도 지워졌다
너른 들녘에 쓰여 있던 참한 이야기와 함께
인천항 뱃고동 젖은 목 길게 빼고
숭의동 저 멀리
재개발 공설운동장, 화려한 몸짓을 퍼덕인다
―『미추홀 연가』(문학의전당, 2012)
<해설>
예전에는 큰 항구마다 홍등가가 있었다. 뱃사람들이 누적된 성욕을 해결하는 데라고 할 수 있을까, 돈으로 하룻밤 같이 잘 사람을 살 수 있었다. 장사래 마을에서 태어난 꽃순이는 “별빛 꿈 한 소쿠리”가 있었건만 하 수상했던 시절이 와서 그만 그 꿈을 “꼬불꼬불 말간 개천”에 띄워 보내게 된다. 가난이 원수였다.
꽃순이는 인천의 옐로우하우스에 가서 밤이면 분홍 꽃등을 켜고 “하룻밤 부나비”를 기다렸다. 그랬던 인천(옛 이름이 미추홀이다) 숭의동이 개발되어 공설운동장과 대형마트로 바뀌었다. 그 옛날 인천 숭의동으로 흘러들었던 꽃순이들은 숭의동 개발 이후 다 어디로 갔을까? 살아 있기나 할까?
인천사람 정경해의 시집『미추홀 연가』는 항구도시 인천의 역사에 대한 살뜰한 보고서다. 북성동, 송현동, 괭이부리마을, 만석동 성냥공장, 화평동, 소래염전, 소래포구, 월미도, 팔미도 등대, 화수부두, 배다리, 만수동 향촌지구의 옛 모습과 송도국제도시의 지금 모습을 그린 지리지가 바로『미추홀 연가』다.
출처 : 뉴스페이퍼(http://www.news-paper.co.kr)
'<시 읽기·우리말·문학자료> > 우리 말♠문학 자료♠작가 대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승하 시인의 ‘내 영혼을 움직인 시’ (48) / 그들의 하느님 - 유자효의 ‘이태석 신부’ (0) | 2021.11.05 |
---|---|
이승하 시인의 ‘내 영혼을 움직인 시’ (47) / 돼지를 키운 누님 - 김영산의 ‘돼지’ (0) | 2021.11.05 |
2021, 오누이시조신인상 당선작 발표 /김진옥 목련 외 1편 (0) | 2021.11.05 |
2021, 이호우·이영도시조문학상 수상작품 심사평 (0) | 2021.11.05 |
이승하 시인의 ‘내 영혼을 움직인 시’ (43) / 꿈과 전설 - 김근의 ‘江, 꿈’ (0) | 2021.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