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당백(一當百)은 ‘한 사람이 100명을 당해낸다.’는 뜻이다. 나라와 나라 사이의 전쟁이건, 민간 부문의 경쟁에서건 일당백은 대단한 용기와 뛰어난 (전투) 능력·의지를 표현할 때 흔히 쓰는 찬사이다. 실제로 인류의 전쟁사를 들여다보면 수적으로는 절대 열세인데도 부대원들이 일치단결하고 지도자가 절묘한 군사작전을 펴 몇십, 몇백배에 이르는 적에게 승리를 거둔 일이 적잖게 있어 왔다.
[씨줄날줄] ‘일당백’의 비극/이용원 수석논설위원 |
|
|
예컨대 우리 역사에서도 중국 수나라의 100만 대군을 국토 깊숙이 유인한 다음 섬멸시킨 을지문덕 장
군의 살수대첩, 군민(軍民)이 힘을 합쳐 당 태종의 침공을 끝까지 막아내 기어이 철군토록 한 안시성
전투 등은 일당백의 정신을 그대로 보여준 빛나는 승리이다. 하지만 이같은 일당백의 신화는 이미 과
거의 장으로 넘어간 듯하다. 첨단무기가 총동원되는 21세기의 전쟁터에서는 일당백의 의지만으로 침
략군의 그 압도적인 군사력을 단기간에 방어해 내기가 거의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전쟁은
더 이상 승패를 겨루는 무대가 아니라 일방적인 학살로 탈바꿈하기 십상이다.
이스라엘이 하마스를 뿌리 뽑겠다며 가자지구에 진군해 총공세를 펼친 전쟁이 22일만에 잠정 휴전에 들어갔다. 영국 BBC 방송이 팔레스타인 보건당국의 집계를 인용한 데 따르면 이번 전쟁에서 팔레스타인 사망자는 1245명이며, 부상자는 5300명을 넘는다고 한다. 또 사망자 중에는 민간인이 절반가량이라고 했다. 반면 이스라엘 쪽 사망자는 민간인 3명을 포함해 13명이라고 했다.
전쟁 초기 이스라엘에서 가장 인기 높은 코미디쇼에서는 ‘원정팀 500명, 홈팀 4명, 결과는 좋지만 만족할 수 없으니 격차를 더 벌려야 한다.’는 발언으로 팔레스타인인(원정팀)과 이스라엘인(홈팀)의 사망자 수를 스포츠 중계 형식으로 비교해 국제사회의 거센 비난을 받았다. 잠정 휴전 시점에서 양쪽의 희생자 수는 1245명 대 13명, 곧 100대 1이다. 가자지구 국경지대에 망원경·도시락을 들고 와 전쟁 현장을 구경하며 ‘브라보.’를 외쳤다는 이스라엘 국민은 이 비극적인 ‘일당백’의 현실 앞에서 이제는 만족하려는가.
| |||
서울신문 2009-01-20 | |||
2차 대전 당시 600만명이라는 사상 초유의 희생자를 낳은 피해자들이 이제는 가해자가 되었습니다. 인명 살상을 마치 남의 집 불구경 하듯 한낱 코미디 프로에서까지 조롱을 하고 있다니. 힘을 쓰는 자 힘으로 망한다고 했는데...... |
'<읽어본 신문·건강정보> > 내가 읽은 신문♠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ealthy Life] (40) 혈액형 편견과 진실 (0) | 2011.01.08 |
---|---|
“詩로 밥벌어 먹기 참 힘들구나” (0) | 2011.01.08 |
[Healthy Life] 의료정보 허와 실 (5)감기 (0) | 2011.01.08 |
동시(童詩) 쓰는 재미에 푹빠진 시인들 (0) | 2011.01.08 |
사랑한다 우리말(한국인이라면 꼭 알아둬야 할 쓸모 있는 토박이말 205) (0) | 2011.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