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읽기·우리말·문학자료>/우리 말♠문학 자료♠작가 대담 1123

[황정산이 쓰는 리뷰시 단평]

[황정산이 쓰는 리뷰시 단평] 그 여자의 밀실 장상관 신경줄기에 플러그를 꽂은 냉장고 유통기한 없는 먹을거리 가득 채우고 맹수가 되어 울부짖는다 만성 두통에 시달리는 그녀 수련처럼 건너와 이국에서 황소가 된 여자 안색이 노랗게 물든 단무지 새파란 입술에서 뽑은 시금치 자존심 짓이겨 만든 어묵 벌겋게 달아오른 울화 먹고 자란 홍당무 꼭꼭 만 김밥을 들고 오늘은 꼭 만나고 싶은 사랑 찾아간다 보고 싶은 마음 누르고 눌러 납작해진 여자 뗏목 같은 대발을 저어가는 베트남 우물거릴 때 울컥울컥 목메면 어느새 달려와 등 두드리는 오빠가 석양이 물든 메콩 강물을 건넨다 단 우엣*을 퉁기며 윽지**를 부르던 강변 십년 전에도 보았다던 철새가 붉은 우단 위에 둥지를 틀고 울듯 오빠가 부는 휘파람이 그녀의 입술에서 절뚝절..

강영환 지상 시 창작법 강의 (26) - 원형의 유형 1

강영환 지상 시 창작 강의 26 원형의 유형 1 1. 은유의 확장 사람들에게 붙여 부르는 별명은 그 사람의 상징이며 총체적인 이미지의 결합이다. 이들은 유사성에 의하여 나타나는 상징인 것이며 어떤 경우에는 이름보다 더 깊은 인상으로 기억될 수가 있다. ‘키다리’나 ‘드럼통’ ‘돼지’라 별명을 ..

강영환 시 창작법 강의 (25) - 원형에 대하여

강영환 시 창작법 강의-25 원형에 대하여 우리가 시를 쓸 때 흔히 차용하는 소재 즉 신화나 정형화된 인물, 사물들을 원형이라고 부른다. 다시 말하면 원형이란 어떤 사물이 가지고 있는 근원적인 양상을 이르는 것이다. 시에 사용하는 대상(사물)들은 모두가 보편적인 어떤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보는 이러한 견해는 물론 관념적이긴 하지만 시인에게는 소중한 의미를 제공해 주고 있다. 그것은 그 사물이 가진 의미가 우리의 삶을 얼마나 풍요하게 해 주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닫힌 창으로 새를 날려보낸다 새는 멀리 날아가지 못하고 앞마당 감나무에 앉았다 잠시 뒤를 한번 돌아보더니 이윽고 커다란 날개를 펼치고 먼 먼 하늘로 날아 가버렸다 새가 돌아오기를 기다려 보았지만 하늘은 캄캄해지고 난 뒤에도 창문은 열리지 않..

강영환 지상 시 창작법 강의 24 - 은유와 리얼리티

강영환 지상 시 창작법 강의 24 은유와 리얼리티 ‘나무는 바보’라고 했을 때 ‘나무’와 ‘바보’가 서로 관계하는 마주침 또는 대결 구도에서 은유가 출발한다. 여기에서 은유는 생의 원리인 &lt;마주침 혹은 대결&gt;에서 유추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마침내 새로운 현실, 곧 새로운 의미라 할 &l..

강영환 시 창작법 강의 23 - 은유의 유형

강영환 지상 시 창작법 강의 23 은유의 유형 1. 시를 시적이게 만드는 요소 중에서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이 있다면 바로 은유일 것이다. 은유는 시인이 가진 가장 창조적인 기술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시에 은유를 차용하지 않고 기술 되었다면 그것은 시적이기 보다는 오히려 산문에 가까워지기 때문..

2007신춘문예 당선시 모음(심사평)

2007신춘문예 당선시 모음집 ㅇ 전북일보 / 늙어가는 판화 / 이현수--------------------2 ㅇ 조선일보 / 트레이싱 페이퍼 / 김윤이------------------3 ㅇ 경향신문 / 부레옥잠 /신미나-------------------------3 ㅇ 문화일보 / 구름에 관한 몇 가지 오해 / 김륭-------------4 ㅇ 서울신문 / 연금술사의 수업시대 / 이강산(이산)--..

강영환 시 창작법 강의 22 - 은유의 원리 2

강영환 시 창작법 강의 22 은유의 원리 2 2 투쟁의 원리 투쟁의 원리로 볼 때 은유는 &lt;상반되는 요소들 사이의 다양한 투쟁 양식이다&gt;는 것입니다. 그러나 은유는 어떤 개별적 명에 의해 정의 될 성질의 것이 아닌 것입니다. 휠라이트의 도식에 따르면 은유는 상징의 세계를 거쳐 신화의 세계로 나아..

강영환 시 창작법 강의 21 - 은유의 원리1

강영환 시 창작법 강의 21 은유의 원리 1. 동일성의 원리 휠라이트에 의하면 은유의 원리는 동일성의 원리와 투쟁의 원리로 나누고 있다. 먼저 동일성의 원리로 볼 때 은유는 대체로 비슷한 두 사물의 상사성 혹은 유사성을 통한 두 사물을 결합하는 것이다. 키가 큰 사람과 높이 솟은 전봇..

강영환 시 창작법 강의 21 - 은유의 원리|

강영환 시 창작법 강의 21 은유의 원리 1. 동일성의 원리 휠라이트에 의하면 은유의 원리는 동일성의 원리와 투쟁의 원리로 나누고 있다. 먼저 동일성의 원리로 볼 때 은유는 대체로 비슷한 두 사물의 상사성 혹은 유사성을 통한 두 사물을 결합하는 것이다. 키가 큰 사람과 높이 솟은 전봇대의 공통점을 찾아내어 그 비슷함을 두 사물을 결합시켜 그 의미를 드러내는 것이다. 예를 들면 ‘그 사람은 전봇대다’라고 했을 때 ‘그 사람’과 ‘전봇대’ 사이의 상사성에 의하여 그 사람의 특징을 드러내는 것이다. 휠라이트에 의하면 은유는 어떤 철학적 논리에 의하여 지탱하며 이미 알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 못한 것 혹은 완전하지 못한 상태를 명료하게 깨닫게 하고 그 본질을 정의하며 서술하는 힘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은유..

강영환 시 창작법 강의 20 - 시와 은유

강영환 시 창작강의 20 시와 은유 시는 이념적 도구로써보다는 인간의 근원적 사고활동의 표상이다. 프라이의 말처럼 ‘화해의 형식’이라는데 그 진의가 놓인다. 시를 공부하는 우리는 그 점을 새삼스럽지만 단호하게 인식하자는 것이다. 시는 시 자체일 뿐 다른 그 무엇은 아니라고 말할 때 그 말 속..